전체 글

Const Function - Intuition 1,2
Endrew Ng 교수님의 Machine Learning강의를 듣고 복습하는 글입니다. (www.coursera.org) 0. 지난 시간 복습 선형회귀 함수와 비용함수에 대해 복습 겸 정리를 하자면, h(x) : x의 선형함수인 y를 예측하는 것. '가설'이라고 부름. 파라미터 값에 따라 선형함수의 모양이 달라짐. 비용함수의 최솟값을 찾아야 한다. 즉, h(x)와 y간의 차이를 작게 만들어야 한다. 우리의 목표는 J(Θ0,Θ1)의 최솟값을 찾는 것. 1. Const Function - Intuition 1 비용함수에 대한 쉬운 이해를 위해 Θ0=0일 경우로, 가설을 간소화해서 설명하였다. hypothesis: h(x) = Θ1x Parameter: Θ1 Const Function: J(Θ1) Goal: ..

Linear Regression(선형 회귀)
Endrew Ng 교수님의 Machine Learning강의를 듣고 복습하는 글입니다. (www.coursera.org) 첫번째 학습 알고리즘은 선형 회귀이다. 이번 시간에는 모델이 어떻게 생겼는지 그리고 전반적인 지도 학습 과정에 대해 알아보겠다. (Const function의 수학적 정의 위주.) 1. Model 표현 (선형 회귀) ▶선형 회귀는 지도학습의 한 종류.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 과정을 거쳐서 데이터에 가장 잘맞는 선형 모델의 파라미터를 찾아서 예측한다. ▶즉, 종속변수 y와 한 개 이상의 독립변수 x와의 선형 상관관계를 모델링하는 회귀분석 기법. ▶대부분의 데이터들이 보통 선형(linear)으로 분포하는 경향이 있어서 선현회귀를 통해 예측 가능하다. ▶표기법 m : 학습데이터셋 개..

What is machine learning?
Endrew Ng 교수님의 Machine Learning강의를 듣고 복습하는 글입니다. (www.coursera.org) 1. 머신러닝이란? ▶Field of study that gives computers the ability to learn without being explicitly programmed. 컴퓨터에게 명시적인 프로그래밍(코드) 없이 배우는 능력을 제공하는 연구 분야. ▶A computer program is said to learn from experience E with respect to some task T and some performance measure P. Computer program은 어떠한 작업 T와 성능 측정값인 P와 관련해서 경험 자체E를 학습한다. 즉, 경험E와..

라즈베리파이의 GPIO
라즈베리 파이 구성과 환경 세팅 등은 건너뛰고 내가 라즈베이파이로 실습한 내용들을 기록할 예정이다. 라즈베리 파이 실습에는 파이썬 문법과 간단한 리눅스 명령어를 알고 있으면 된다. 그 전에 라즈베리파이의 40개의 GPIO 핀을 짚고 가면 좋을 것 같다. GPIO는 General Purpose Input/Ouput의 약자이다. 즉 임베디드 하드웨어에서 입력, 출력이 가능하도록 한다. 내가 이번 라즈베리파이 실습동안 사용한 PIN number는 다음과 같다. 목적 물리적 PIN번호 (GPIO number) 전원 (5V power) 2 Ground 6 LED1 (R-G-B) 36-38-40 (GPIO 16-20-21) LED2 (R-G-B) 33-35-37 (GPIO 13-19-26) Button 32 (GP..

제네릭과 Wrapper 클래스
제네릭 개념 ---------------------------------------------------------------------------------------- ▶클래스나 메소드를 형판에서 찍어내듯이 생산할 수 있도록 '일반화된 형판'을 만드는 기법 ▶특정 타입만 다루지 않고, 여러 종류의 타입으로 쓰일 수 있도록 클래스나 메소드를 '일반화'시키는 기법 쉬운말로, 자료형을 정하지 않는 기법. (외부에서 지정) -> 외부에서 어떤 타입이 들어올지 모를 때 유용. ▶여러 종류를 받는 클래스,인스터페이스 이름옆에 를 써준다. (타입을 파라미터로 가지는 클래스와 인터페이스가 된다.) 1. 제네릭 클래스 class GClass { private E data; public E getData() { ret..
![[8958] OX퀴즈](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AezeS%2FbtqI2GKImLw%2FAAAAAAAAAAAAAAAAAAAAAKx2bRd8e3PCtHv9T7yVaIBOfeiNFhaPKPwk-ZlV-7VB%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9244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oEsRjT6dkVgGqq8JmkpbN144uRY%253D)
[8958] OX퀴즈
우선 이 문제는 너무 출력결과에 집착하면 안된다... 내가 그랬기때문에.. 그리고 charAt(index) 문법을 쓸 생각을 못했고 각 인덱스 속에 있는 String의 길이에 접근할 생각을 못해 빙빙 돌아돌아 해결하려했던ㅠㅠ.. 결국 인터넷을 참고하여 풀게 되었는데 나의 코드 결과는 이렇다 :) 출력결과랑 다름에도, '맞았습니다!!' 가 떠서 약간 어이가 없었지만... 이번을 계기로 그렇게 출력결과에 맞추려하지 않아도 됨을 알게되었으니..:/ [알고리즘] 1. String 배열의 길이 (문제 개수)를 입력 받는다. 2. 반복문으로 각 배열의 인덱스에 String을 넣는다. 3. 넣자마자 또 반복문 생성. 어디까지? String의 길이까지. (.length() 함수 사용한다.) 4. 그 인덱스(St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