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10951번] EOF 개념

    [10951번] EOF 개념

    # 10951번, A+B -4 (EOF 활용 문제) EOF란? End Of File로, 컴퓨팅에서 더이상 읽어올 데이터가 없음을 뜻한다. 만약, 데이터를 입력하는 반복문에서 데이터를 입력하지 않으면 끝내는 것을 의미한다. 입력 클래스는 Scanner, BufferedReader가 있는데, 각각 EOF 처리 방법은 Scanner 클래스 (Scanner 클래스는 속도가 느림)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while (sc.hasNextLine()) { sc.nextLine(); } while (sc.hasNextInt()) { sc.nextInt(); } BufferedReader 클래스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

    리눅스마스터 2급2차 [네트워크]

    리눅스마스터 2급2차 [네트워크]

    네트워크 설정과 관련된 파일들이나 명령어가 많으니 정리해보겠다. # 네트워크 설정파일 /etc/sysconfig/network 네트워크의 기본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파일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X 지정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네트워크 환경 설정 정보 굳이 둘의 차이를 따지자면 /etc/sysconfig/network 파일에는 시스템 전체의 네트워크 연결 허용 유무, 전체 도메인명, 게이트웨이 주소, 게이트웨이로 연결된 장비명을 설정하고,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X 파일에는 네트워크 장치명, IP주소환경(고정,유동), 브로드캐스트 주소, 호스트의 IP주소, 서브넷 마스크, 네트워크 주소, 부팅시 장비 활성화 유무..

    리눅스마스터 2급 2차 [프로세스]

    리눅스마스터 2급 2차 [프로세스]

    프로세스란! CPU와 메모리를 할당 받아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이다. 프로세스들에게는 고유의 ID를 할당받는데, 이를 PID. PID가 1인 프로세스는 init, init에 의해 다른 모든 프로세스들이 시작됨. 프로세스 유형 # 프로세스 실행 형태 ◦포그라운드 프로세스: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면서 화면에 실행되는 것이 보이는 프로세스. 그래서 명령 입력 후 수행이 종료될 때까지 기다려야함. ex)응용프로그램, 명령어 등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 사용자와 직접적인 대화를 하지않고, 뒤에서 화면에 나타나지않고 실해오디는 프로세스. 사용자의 입력에 관계없이 실행됨. ex)시스템 프로그램, 데몬 등 (1)데몬(Daemon) -리눅스 시스템 부팅 시 자동으로 실행되는 background process. -메모리에 상..

    리눅스마스터 2급 2차 [셸]

    리눅스마스터 2급 2차 [셸]

    셸 # 개념 및 종류 ◦개념 -셸은 커널과 응용 프로그램 사이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어를 해석하여 커널에 전달하고 커널에서 수행한 것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대화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셈이다. -로그인할 때 실행되어 사용자별로 사용 환경 설정을 가능하게 함. 즉, 사용자마다 사용하는 셸이 다를 수 있음! -기능 : 강력한 스크립트언어(프로그래밍 기능) / 입출력 방향 재지정 & 파이프 기능 / 포그라운드&백그라운드 프로세스 실행. ◦종류 -사용자 프롬포트 : $(본셸) , %(C셸) -대부분의 셸은 본셸 계열의 기능을 포함하여 확대발전한 형태! (그래서, C셸은 본셸의 모든 기능+히스토리, 별명, 작업제어기능을 추가로 가지고 있음) (1)본셸 계열 (2)C셸 계열 # 셸 확인 및 변경 ◦ 로그인 셸 ..

    리눅스마스터 2급 2차 [파일 시스템]

    리눅스마스터 2급 2차 [파일 시스템]

    디스크 쿼터를 공부하다가 다시 앞으로 돌아가서 mount(+마운팅 방법)도 제대로 공부하고포맷도 다시 알아보니 새로운 개념을 알게된 기분이라서 세가지 개념을 주절주절적어봤다. 실습도 중요했지만 제대로 파일 시스템이 어떻게 구성됐고 리눅스 체제가 어떤지 알게되니 훨씬 제대로 알고 넘어가는 기분이다. 세가지 개념은 파일로 첨부해놓겠다.내 중심으로 써서 정신없는 내용임.. 파일 시스템의 개요와 종류 # 개요 운영체제가 파일을 시스템의 디스크상에 구성하는 방식. 즉, 컴퓨터에서 파일이나 자료를 쉽게 발견,접근할 수 있도록 보관&조직하는 체제. 데이터들을 파일&디렉터리로 분류 및 정리해놓음으로써 우린 편리함을 느끼죠! 그게 리눅스의 파일 시스템이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운영체제에 따라 사용되는 파일 시스템이 다른..

    리눅스마스터 2급 2차 [다시 봐야 할 개념]

    리눅스마스터 2급 2차 [다시 봐야 할 개념]

    # 명령어 chown [-R] ; 파일과 디렉터리의 사용자 소유권과 그룹 소유권을 변경하는 명령어 ◦ -R 옵션 : 하위 디렉터리를 포함하여 디렉터리 내부의 모든 파일의 소유권 변경 ◦ 예시 더보기 #chown -R root Youngjin : 디렉터리 Youngjin의 모든 파일과 하위 디렉터리의 소유권을 root로 변경. #chown :root TST : 디렉터리 TST의 그룹 소유권을 root로 변경. #chown -R root :user1 TST1 : 디렉터리 TST1의 모든 파일과 하위 디렉터리의 소유권을 root로, 그룹 소유권을 user1으로 변경. # 디스크 쿼터 (Disk Quota) 관련 명령어 ; 파일 시스템마다 사용자/그룹이 생성할 수 있는 파일의 용량 및 개수를 제한하는 것.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