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npm] 필요한 모듈 한번에 설치하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pC6kB%2FbtraMqVc9gy%2FIgt0tUJU2YRE3bgnlFQHL1%2Fimg.png)
[npm] 필요한 모듈 한번에 설치하기
이번 글에서는 필요한 모듈들을 일일이 설치하지 않고 한번에 설치할 수 있는 명령어를 알아볼 것이다. 진행되고 있는 프로젝트 중간에 합류하다보면 진행되고 있는 프로젝트를 git으로 clone해와서 확인해봐야할 것이다. 그리고 나도 같이 개발을 진행해야하는데.. 이 많은 모듈들을 한번에 설치하는 명령어가 있다. 더보기 처음엔 하나하나 의미를익히면서 설치하였는데.. 이러다간 꽁무니만 따라가고 있을 것 같아서 일단 모듈을 다 설치하고 코드를 보면서 모르는 모듈은 알아보는 식으로 진행해야겠단 생각이 들었다. 그럼 해당 프로젝트에 필요한 모듈들을 먼저 설치해보자. 코드는 간단하다. $ npm install package.json 파일만 있다면 해당 파일의 dependencies에 있는 모듈들은 모두 설치가 된다. ..
[개념] Routing
라우팅 express에서 라우팅이라는 개념은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받은 URL과 뷰를 매칭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웹 브라우저에 google.com 이라고 입력하면 해당 구글 웹서버가 응답하여 매칭되는 화면을 띄우는 것이라고 할 수 있죠. 아래 예시를 보면 , 같은 도메인 주소(www.naver.com) 에서 path에 따라 다른 페이지를 보여주는 역할을 라우터가 해주는 것입니다. 여기서 path는 webtoon과 blog 이네요. https://www.naver.com/webtoon https://www.naver.com/blog //예시를 들고자 편하게 적은 것이며 실제와 다릅니다. 웹을 제작할 때 초기에 해당 코드를 많이 볼 수 있습니다. 페이지가 있어야 그 페이지를 구성하고 꾸미겠죠..
[개념] 비동기 처리를 위한 문법 (ES6)
비동기 처리를 위한 문법의 "역사" 이런 말이 맞을 지 모르겠지만 거창하게 역사 라는 말을 붙여보았다..ㅋㅋ비동기 처리를 위해 ES6에서 여러 문법이 추가되는 과정을 공부하고 나니 괜히 하나의 "역사"를 본 것 같아서ㅎㅎ Promises ES6의 새로운 문법 javascript에서 비동기를 처리할 때 주로 사용되는 문법 콜백 지옥(callback hell, 프로미스가 나오기 전에는 콜백을 사용해서 비동기를 처리하였는데, 콜백이 점점 쌓이면서 깊이가 점점 깊어지는 문제)을 해결하였다!! 용어 정리 비동기 처리 동기와 비동기에 대해 먼저 알아야 한다. 동기 (synchronus : 동시에 일어나는) 동시에 일어난다. 요청과 동시에 응답이 주어져야한다. 즉, 요청을 보냈을 때 응답을 받아야지만 다음 동작이 이..
[개념] JS와 ES6 문법
Node.js란? 구글에서 만든 Chrome V8 JavaScript 엔진으로 빌드된 JavaScript 런타임 (V8은 구글이 만들었지만 node는 'Ryan Lienhart' 님이 만들었다는 사실) javascript는 기존에 브라우저 내에서만 실행할 수 있는 언어였지만, 브라우저가 없이 로컬에서 혹은 서버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서버 환경으로 유명한 Node.js에서는 express 모듈을 사용해서 웹 서버를 구축할 수 있다. 쉽게 말해서, Node.js란 자바스크립트를 브라우저가 아닌 컴퓨터에서 로컬 혹은 서버에서 실행하도록 도와주는 환경이라 생각하면 된다. npm이란? 나중에 실습할 때 나올 아이로, 웹 개발을 진행하는데 필요한 여러 라이브러리를 설치해야할 때 'npm' 을 사용하게..
![[Pandas] DataFrame 데이터 삭제](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wAnTZ%2Fbtq0900Goi0%2FehRVpEfjOJDyVt1n4ub4XK%2Fimg.png)
[Pandas] DataFrame 데이터 삭제
DataFrame.drop(labels=None, axis=0, index=None, columns=None, level=None, inplace=False, errors='raise') * = None 이라 표시된 것은 '='으로 어떤 값을 할당하는게 아니란 의미! 즉, labels 옵션은 그냥 어떠한 값을 적어주면 된다. ex) 'Pclass' 이중 가장 중요한 파라미터는 labels, axis, inplace이다. 1. labels 데이터프레임에서 제거할 (컬럼의)컬럼명이나 (특정 로우를 가리키는) 인덱스를 넣어주는 파라미터. 2. axis axis=0을 입력하면, DataFrame의 특정 로우를 드롭하고자 하는것. -> 이상치를 제거하고자할 때 가끔 쓰임. axis=1을 입력하면, DataF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