뭉지(moonz)
작은 발자국들의 위대한 여정
뭉지(moonz)
  • All (201)
    • Test Code (4)
    • 백엔드 개발하며 작성한 (26)
      • Spring (17)
      • 데이터베이스 (6)
      • 기억할 내용 (3)
    • 언어 (53)
      • Java (25)
      • node.js (7)
      • Python (21)
    • 클라우드 (6)
    • Algorithm & Data Structure (51)
      • 개념 (15)
      • 문제 풀이 (36)
    • 유용한 모든 것 (16)
    • monologue (7)
      • 업무 노트 (1)
      • 관리 로그 (0)
      • 내 이야기 공책 (6)
    • Project (2)
    • TroubleShooting (8)
    • 지식 (18)
      • Machine Learning (6)
      • Review (7)
      • Web (5)
    • Computer Science (5)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인기 글

최근 글

최근 댓글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뭉지(moonz)

작은 발자국들의 위대한 여정

[Spring Boot 프로젝트] AWS EC2로 Spring Boot 배포
백엔드 개발하며 작성한/Spring

[Spring Boot 프로젝트] AWS EC2로 Spring Boot 배포

2021. 10. 16. 09:21
반응형

1. Git 설치

아래 명령으로 git을 설치한다.

sudo apt-get install git

 

아래 명령으로 프로젝트 파일을 다운받는다.

git clone {레포지토리 주소}

ex) git clone https://github.com/BananMoon/healing4u-mobileWeb.git

 

 

만약! 파일 수정 후에 git pull을 할 경우

1. git init을 먼저 해준 후에

2. git pull {원격 저장소명} {브랜치명} 을 해주면 된다.     ex) git pull origin main

 

 

2. java 설치 (openjdk 11)

Spring Boot 프로젝트에서 Java 버전을 11로 설정했기 때문에 EC2에도 java opendjk 11버전을 설치해야 한다.

아래 명령어를 입력했다. (※아래 먼저 보기※)

sudo apt-get install openjdk-11-jdk

설치 후, java 버전을 확인했는데...

??? 설치가 왜 안됐지?

아래 글을 참고하였다.

https://triest.tistory.com/48

 

아래 명령어를 수행하면 java openjdk11로 설치가 잘 된다.

sudo add-apt-repository ppa:openjdk-r/ppa

sudo apt install openjdk-11-jdk

 

확인! 

 

3. gradlew에 실행 권한 부여

Gradle_wrapper는 gradle을 서버에 깔지 않고, 프로젝트에 함께 포함시켜 배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sudo chmod 777 ./gradlew

 

 

4. 프로젝트 빌드

gradlew로 프로젝트를 빌드한다.

sudo ./gradlew build

 

빌드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프로젝트 폴더 내 build/libs 안에 jar 파일이 생성된다.

이 jar 파일을 실행하면 프로젝트를 실행시킬 수 있다.

sudo java -jar build/libs/{jar 파일명}.jar

 

 

추가

프로젝트를 실행시킨 후에 접속했을 시 접속되지 않는다면

보안 - 인바인드 규칙을 확인 및 편집해야합니다. 

만약 해당 프로젝트가 2004 포트로 접속을 하도록 세팅해두었다면, EC2에서 해당 2004 포트를 열어줘야합니다. 

본인은 IPv4(0.0.0.0/0), IPv6(::/0) 모두 열어주었습니다.

반응형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백엔드 개발하며 작성한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sponseEntity 사용법  (0) 2022.01.02
JAP Query로 특정 칼럼의 count 쿼리문 실행하기  (0) 2021.11.12
[Spring Boot] 테스트 코드 작성 (Hello World편)  (0) 2021.10.13
[Spring Boot 프로젝트] 1. 프로젝트 생성과 Boot Strap 템플릿 적용(Thymeleaf)  (0) 2021.10.08
ORM(Object Relational Mapping)과 JPA(Java Persistence API)  (0) 2021.10.07
    '백엔드 개발하며 작성한/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 ResponseEntity 사용법
    • JAP Query로 특정 칼럼의 count 쿼리문 실행하기
    • [Spring Boot] 테스트 코드 작성 (Hello World편)
    • [Spring Boot 프로젝트] 1. 프로젝트 생성과 Boot Strap 템플릿 적용(Thymeleaf)
    뭉지(moonz)
    뭉지(moonz)
    제가 깨달은 것을 정리하는 공간입니다.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