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실습 #1. 계좌이체 프로그램 예제
JAVA 복습 및 정리
1. 참조 타입은 힙 영역에 저장한다. (큰 데이터니까)
2. 참조타입변수(레퍼런스변수)의 메모리 생성 위치는 스택이다.
3. 참조타입에서 ==, != 연산자는 객체의 주소를 비교하는 것이다. (내용x)
4. String 타입은 사실 클래스이므로, 참조타입이다.
5. new 연산자로 클래스의 생성자를 호출함으로써 객체가 생성된다.
ex) Account account = new Account(); ->new 뒤에 Account()는 생성자임.
6. (5번의 이유로) 클래스는 생성자없이 (new연산자가 클래스 생성자를 호출함으로써 객체가 생성되기 때문에 )객체를 생성하지 못한다.
7. 객체의 필드는 기본값으로 자동 초기화된다.
8. 생성자는 같은 클래스의 다른 생성자를 호출하기 위해this()를 사용할 수 있다.(맨 윗줄에 선언)
But, this.는 자신을 참조하는 참조변수!!(전달인자와 같은 이름일 경우 구분하기 위해 사용!)
9. 메서드 오버로딩은 보통 생성자 오버로딩으로 쓰인다. (매개변수의 타입, 수, 순서에 따라 다름)
10. 정적블록은 클래스 생성 시 형성된다.
11. 상수 : static final 필드로, 생성자에서 초기화될 수 없다!!
12. default 접근 제한은 같은 package 자식/다른 클래스는 접근할 수 없다.
13. 객체지향은 객체 간 상호작용이 중요하다!!
14. 클래스 속성 : 상속성, 캡슐성, 다형성(하나의 공통된 기능을 다양하게 구현-overroading-연산자중복, 함수중복,overriding:함수 재정의), 추상성
15. 변수 타입은 기본타입(스택에 저장)과 참조타입(힙에 저장)이 있다.
16. JAVA영역으로 코드영역/스택영역/힙 영역/스레드 영역이 있다.
17. 같은 지역 내에 return을 여러번 쓸 수 없다. But, 같은 메서드 내에 return 여러번 o
18. 클래스 멤버에는 인스턴스 멤버와 static멤버가 있다. static멤버는 클래스의 멤버로, 클래스만 만들어지면 생성되기때문에 인스턴스를 생성할 필요가 없다. 인스턴스 멤버는 클래스의 구성요소로, 클래스를 통해서 만들어진 객체이다.
ex) class Animal {
cat = Animal(); ->cat은 Animal()의 인스턴스.
}
19. static멤버가 먼저 만들어지고 그다음에 인스턴스가 만들어진다.
20. static멤버는 공유의 목적으로 이용된다.
21. 인스턴스 멤버 선언 vs 정적(static) 멤버 선언
인스턴스 필드는 개개인 별도로 존재하지만, 정적 필드는 클래스 당 한개 생성되어 공유된다.
22. 오버로딩 : 리턴타입은 무관하고 매개변수의 타입, 수, 순서에 따라 달리하여 생성자를 다수 선언하는 것. (오버로딩은 생성자오버로딩으로 대부분 쓰인다.)
23. 아무도 접근할 수 없어 사용할 수 없게된 메모리 : 가비지 (가리키는 레퍼런스가 하나도 없는 객체) -> 자바 가상기계가 가비지를 자동 회수하여 가용 메모리 공간 확보함.(가비지 강제 호출도 가능하지만 쓰지 않음.)
24. 패키지 : 하나의 폴더
25. 접근 제한 : public, protected(외부class에서 접근x), default(외부class와 같은패키지여도 자식클래스는 접근x), private
프로그램 예제 풀기
# 계좌 프로그램
Q1. 계좌정보를 입력받아 계좌를 관리하는 프로그램을 아래 예제를 참조하여 작성하시오.
<background>
- 계좌번호, 계좌주는 String, 금액은 int
- Scanner클래스로 입력 받기
- 배열 한 칸에 객체(정보 3개 한번에 들어갈 수 있음)
-추가로, 송금 기능과, 기록 내역 기능을 추가해보면,
송금기능 : 특정 계좌의 금액을 다른 계좌로 보내는 기능. 얼마를 가지고있는지 + 계좌 2개 신경써야함.
기록 내역 : string + string 해서 하나의 데이터로 / string+int (출금 +3000 => 하나의 string으로 누적됨.)
package hw;
import java.util.Scanner; //Scanner 클래스로 입력받기.
class Account { //속성(변수)과 동작(메서드)을 선언해주는 메서드.
private String num; //계좌번호. 기호 '-'가 있기 때문에 int 대신 String 타입.
private String owner; //계좌주
private int balance; //입금액.
public String msg;
public Account(String num, String owner, int balance) { //매개변수가 있는 생성자
this.num=num; //this는 Account를 의미.
this.balance=balance; //전달인자(매개변수)의 이름과 동일할 경우 Account의 private balance임을 this.를 붙여 구분.
this.owner=owner;
}
public Account( ) {}
public String getNum() {return num;} //(1) Account 객체들의 접근제한자가 private이니까 외부클래스에서는 get,set 메서드로 접근해야한다.
public void setNum(String num) {this.num=num;} //set()메서드는 값을 지정하는 역할
public String getOwner() {return owner;} //get()메서드는 값을 반환하는 역할
public void setOwner(String owner) {this.owner=owner;}
public int getBalance() {return balance;}
public void setBalance(int balance) {this.balance=balance;}
}
//main과 main에서 실행될 메서드들을 묶어주는 메서드. 이 메서드들이 쓸 배열과 Scanner 정적변수를 선언해주고 시작!
public class Q19 {
private static Account[] accountArray= new Account[100]; //java는 배열을 만들면 고정되기때문에 크기를 크게 지정.
private static Scanner scanner= new Scanner(System.in); //static은 메서드가 끝나도 계속 유지되는 정적변수.
String[] recordArray = new String[100]; //기록내역 저장할 배열 선언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boolean run=true; //반복문에 쓰일 boolean
while(run) { //run=false 될때까지 반복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ln("1.계좌 생성 | 2.계좌목록 | 3.예금 | 4.출금 | 5.송금 | 6.기록내역 | 7.종료");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ln("선택> ");
int selectNo = scanner.nextInt(); //숫자를 입력하면 scanner가 읽어서 selectNo 변수에 저장.
if (selectNo == 1) { createAccount(); } //1.createAccount()메서드 호출.
else if (selectNo == 2) {accountList(); } //2. accountList()메서드 호출.
else if (selectNo == 3) {deposit(); } //3. deposit()메서드 호출.
else if (selectNo == 4) {withdraw(); } //4. withdraw()메서드 호출.
else if (selectNo == 5) {wire(); } //5. wire()메서드 호출.
else if (selectNo == 6) {recordList(); } //6. recordList()메서드 호출.
else if (selectNo == 7) {run = false; } //7. run=false; 반복문 중단.
}
System.out.println("프로그램 종료"); //반복문이 끝나면 출력되는 문장.
}
//계좌 생성하기
private static void createAccount() {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ln("계좌생성");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ln("계좌번호: "); String num=scanner.next();
System.out.println("계좌주: "); String owner = scanner.next();
System.out.println("초기입금액: "); int balance = scanner.nextInt();
Account newAccount = new Account(num, owner, balance); //매개변수 있는 생성자 호출! (2)
for(int i=0;i<accountArray.length;i++) {
if (accountArray[i]== null) {
accountArray[i]= newAccount; //배열 한칸에 넣어준것. 결국 배열 한칸에 한 객체(세개의 정보를 갖고있는)가 들어가는 것.
System.out.println("결과: 계좌가 생성되었습니다.");
record("계좌 생성 | 계좌 정보: "+newAccount); //기록내역에 저장할 메서드 호출.
break;
}
}
}
//계좌 목록보기
private static void accountList() {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ln("계좌목록");
System.out.println("--------------");
for (int i=0; i<accountArray.length;i++) { //Q19클래스에서 선언한 배열 accountArray의길이(100)까지 반복.
Account account = accountArray[i]; //반복문이 실행되면서 각 배열에 담긴 변수를 그때그때 담을 객체 선언
if (account != null) { //배열이 비어 있을 수도 있는데 객체가 비어있지 않다면
System.out.println(account.getNum()); //계좌번호 반환하는 getNum()메서드 호출! (3)
System.out.println(" ");
System.out.println(account.getOwner()); //계좌주 반환하는 getOwner()메서드 호출!
System.out.println(" ");
System.out.println(account.getBalance());//계좌 금액 반환하는 getBalance() 메서드 호출!
System.out.println(" ");
}
}
}
//예금하기
private static void deposit() {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ln("예금");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ln("계좌번호: "); String num= scanner.next(); //에금할 계좌번호 입력.
System.out.println("예금액: "); int money = scanner.nextInt(); //예금할 금액 입력.
Account account = findAccount(num); //계좌정보(num,owner,balance) 넣는 변수 선언. findAccount(): 계좌를 찾는 메서드를 따로 생성. why? 계좌 찾는 일이 많으니까 반복을 줄이기위해.
/* if(account == null) { //인스턴스가 null이면 findAccount()가 반환한 계좌정보가 없단 소리.
System.out.println("결과: 계좌가 없습니다.");
return; //return의 기능 (4)
}
생각해보니까 findAccount()에서 배열이 비었는지 검사하기 때문에 여기서도 검사할 필요가 없다 느껴서 주석처리 했음. 넣어도 상관은 없을듯.
*/ account.setBalance(account.getBalance()+money); //(getBalance()를 호출해서) 반환된 현재 balance에 예금한 돈을 합쳐서 (setBalance()를 호출해서 인자를 전달하여 )다시 balance에 저장.
System.out.println("결과: 예금이 성공되었습니다.");
record("예금 | 계좌정보: " + account + "예금액: "+money); //기록내역에 저장할 메서드 호출.
}
//출금하기
private static void withdraw() { //사실 예금의 반대 기능 메서드이기 때문에 코드가 deposit()과 같고 +를 -로만 바꿔주면 된다.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ln("출금");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ln("계좌번호: "); String num= scanner.next(); //출금시킬 계좌번호 입력해서 num에 저장.
System.out.println("출금액: "); int money = scanner.nextInt(); //출금금액 입력해서 money에 저장.
Account account = findAccount(num); //계좌정보(num,owner,balance) 넣는 객체 선언.
/* if(account == null) { //account객체가 비어있으면 계좌정보가 비어있다는 거니까 계좌가 없다는 뜻.
System.out.println("결과: 계좌가 없습니다.");
return;
}
예금 메서드와 같은 이유로 생략 가능.
*/ account.setBalance(account.getBalance()-money); //(getBalance()를 호출하여 반환된)현재 balance에서 출금값을 빼주고 (setBalance()를 호출하여)그 값을 balance로 지정.
System.out.println("결과: 출금이 성공되었습니다.");
record("출금 | 계좌정보: " + account + "출금액: "+money);
}
//계좌 찾기
private static Account findAccount(String num) { //Account클래스의 객체를 반환하려면 return타입도 Account.
Account account = null; //Account 타입의 객체를 선언. 아직은 비어있는 객체.
for(int i=0;i<accountArray.length; i++) { //배열 수(100)만큼 반복.
if(accountArray[i] != null) { //배열이 비어있으면 계좌가 비어있는 거니까 null이 아닌 경우 if문 실행.
String dbNum = accountArray[i].getNum(); //각 배열의 계좌번호가 반복 초기화될 변수 dbNum.
if (dbNum.equals(num)) { //변수 dbNum이 num이랑 같으면 (전달인자로 들어온 사용자가 찾는 계좌번호와 배열에 저장돼있는 계좌번호가 같으면)
account = accountArray[i]; //반환할 객체 account에 그 배열정보(객체정보num,owner,balance) 저장.
break; //찾았으니까 끝내기. (만약 dbNum과 num이 달라서 if문이 실행안됐다면 다시 for문으로 가서 그 다음 배열에 저장된 객체(계좌정보)와 비교.
}
}
}
return account; //저장된 계좌정보(타입:Account타입)를 반환.
}
//송금하기
private static void wire() {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ln("송금");
System.out.println("--------------");
//출금 계좌번호 찾기
System.out.println("출금할 계좌번호: "); String num = scanner.next();
System.out.println("출금액: "); int money = scanner.nextInt();
Account withdrawAccount = findAccount(num);
if (money>withdrawAccount.getBalance()) {
System.out.println("계좌에 돈이 부족합니다."); //출금액이 부족할경우
return; //메서드 종료.
}
else withdrawAccount.setBalance(withdrawAccount.getBalance()-money); //else getBalance()에서 balance가져와서 출금액만큼 빼주고 다시 setBalance()로 지정.
//예금 계좌번호 찾기
System.out.println("예금할 계좌번호: "); String depositNum = scanner.next();
if(num == depositNum) {
System.out.println("출금할 계좌와 예금할 계좌가 같습니다.");//출금계좌와 예금계좌가 같으면
return; //메서드 종료.
}
Account depositAccount= findAccount(depositNum); //다르면 예금할 계좌정보 찾아서 객체에 저장.
depositAccount.setBalance(depositAccount.getBalance()+money);
System.out.println("결과: 송금이 성공되었습니다.");
record("송금 | "+"송금계좌정보: " + withdrawAccount + "예금계좌정보: " + depositAccount + "송금액: " + money); //기록내역에 저장할 메서드 선언.
}
//기록하기
private static void record(String msg) {
Q19 a = new Q19();
for(int i=0;i<a.recordArray.length;i++) {
if (a.recordArray[i]== null) { //비어있으면 넣어주고 안비어있으면 다음 인덱스로 넘어가서 확인.
a.recordArray[i]= msg; //배열 한칸에 넣어준것. 결국 배열 한칸에 한 객체(세개의 정보를 갖고있는)가 들어가는 것.
break;
}
}
}
//기록내역보기
private static void recordList() {
Q19 a = new Q19();
for(int i=0;i<a.recordArray.length;i++) { //기록배열 길이만큼 반복하면서
if (a.recordArray[i]== null) { //배열이 비어있으면
System.out.println("기록된 내역이 없습니다.");
return;
}
else //배열이 안비어있으면
System.out.println(a.recordArray[i]);//기록내역 보여주기.
}
}
}
짚고 넘어갈 점을 번호 붙여놨는데 다시 정리해보자면!
(1) 보통 class에선 private으로 변수를 선언(아무나 접근x)하고 외부 클래스에서 접근할땐 get,set 메서드로 접근함.
private로 변수를 선언하면 외부 클래스에서 그 변수를 쓰지 못하기 때문에
public으로 선언되는 get,set 메서드로 그 변수를 쓰거나, 값을 설정하는 식으로 이루어진다.
(2) Account(,,)생성자로 세개의 구성요소(정보)를 초기화한 후, 그것을 하나의 객체 newAccount 에 저장.
(3) System.out.println(num); 이라고 못하는 이유?
접근권한자가 private이니까 외부함수에선 인스턴스변수 num에 직접 접근하지 못함.
(4) return의 기능 : 1.값을 반환 2.메서드 종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