뭉지(moonz)
작은 발자국들의 위대한 여정
뭉지(moonz)
  • All (202)
    • Test Code (4)
    • 백엔드 개발하며 작성한 (27)
      • Spring (17)
      • 데이터베이스 (7)
      • 기억할 내용 (3)
    • 언어 (53)
      • Java (25)
      • node.js (7)
      • Python (21)
    • 클라우드 (6)
    • Algorithm & Data Structure (51)
      • 개념 (15)
      • 문제 풀이 (36)
    • 유용한 모든 것 (16)
    • monologue (7)
      • 업무 노트 (1)
      • 관리 로그 (0)
      • 내 이야기 공책 (6)
    • Project (2)
    • TroubleShooting (8)
    • 지식 (18)
      • Machine Learning (6)
      • Review (7)
      • Web (5)
    • Computer Science (5)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인기 글

최근 글

최근 댓글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뭉지(moonz)

작은 발자국들의 위대한 여정

cmd로 MongoDB에 데이터 저장하기
백엔드 개발하며 작성한/데이터베이스

cmd로 MongoDB에 데이터 저장하기

2021. 5. 20. 01:13
반응형
mongoDB와 mongoDBCompass는 이미 설치되어있다고 가정한 상태입니다.

 

cmd를 이용해서 간편하게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컬렉션과 fileds를 넣어보자.

물론, MongoDBCompass를 사용하면 제일 편하지만, GUI보다 먼저 직접 코드로 쳐서 해보는걸로 시작하는게 좋은 것 같다.

 

window의 cmd에 들어가서

>>mongo

라고 치게 되면, mongoDB로 이동~!

>>db

라고 치면, 아마 디폴트 DB로 test가 나올것이다.

 

그리고 내가 생성하고자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넣어주는데,

>>use FaceImg

'FaceImg'라는 DB를 생성해주면서 해당 데이터베이스로 변환된다.

 

이제 collection을 생성해보자!

>>use faces

'faces'라는 컬렉션을 생성했다. 그리고, 'label'이라는 field를 추가해보겠다!

>>db.faces.insertOne( { label : 'happy' } );

 

이렇게 하고 나면, mongoDBCompass에서도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데이터베이스, 컬렉션, Field를 생성해보았다!

 

컬렉션과 필드를 빗대어 생각해보면,

컬렉션은 하나의 엑셀 sheet이고, 이 컬렉션 안에 document들이 쌓이는 것이다.

필드는 말 그대로 속성이기 때문에, 회원가입 정보 DB라고 한다면, email, password, name이 field가 될 수 있다.

 

반응형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백엔드 개발하며 작성한 >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ORM] 상속 관계 매핑  (0) 2022.05.20
[ORM] 연관관계의 주인을 정해야하는 이유  (0) 2022.05.20
[ORM > JPA] 영속성 컨텍스트  (0) 2022.04.14
[MySQL]날짜/시간 타입과 TIMESTAMP 칼럼 생성  (0) 2021.10.08
[MySQL Workbench] ERD를 SQL 코드로 변환하기  (0) 2021.09.02
    '백엔드 개발하며 작성한/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ORM] 연관관계의 주인을 정해야하는 이유
    • [ORM > JPA] 영속성 컨텍스트
    • [MySQL]날짜/시간 타입과 TIMESTAMP 칼럼 생성
    • [MySQL Workbench] ERD를 SQL 코드로 변환하기
    뭉지(moonz)
    뭉지(moonz)
    제가 깨달은 것을 정리하는 공간입니다.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