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번 문제를 풀면서 느낀 점은 냅다 코드를 적으려고 달려들기보다 자료구조?를 짜고 시작하는게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됐다. 먼저 문제를 읽으면서 예제대로 적어보고 어떻게 짤지 구조적으로 써보니 어렵게 느껴진 문제를 한번에 풀 수 있었다.
끄적인 모습은 이런 모습이다.
이렇게 예제대로 적어보고 어떤 규칙이 있는지 생각해보고
변수를 몇개 써야하는지
반복문을 어떻게 적는게 좋을지 생각해보니 코드로 어떻게 작성하면 될지 감이 왔다.
이보다 더 간단히 쓸 수 있을 수도 있겠지만... 내 코드는 이렇다.
- 변수 선언과 반복문 사이의 네줄을 줄일 방법을 생각해봤지만 변수를 늘리는 일밖에 없다 생각이 들어 그냥 비슷한 문장을 한번 더 쓰기로 했다.
저 네문장을 따로 쓴 이유는 초기 숫자n를 입력했을 때는 n을 이용해서 a,b,c를 구해야 하지만 그다음부터는 N을 이용해서 a,b,c에 값을 넣으므로 그냥 네줄을 따로 써주고 반복문을 시작하였다.
-cyc이 사이클 횟수이므로 출력결과는 cyc값으로 해주었다.
반응형
'Algorithm & Data Structure > 문제 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817번] 세 수 (0) | 2020.08.29 |
---|---|
[10039번]평균 점수 (Java) (0) | 2020.08.27 |
[5543번] 상근날드 (0) | 2020.08.27 |
[10951번] EOF 개념 (0) | 2020.08.25 |
if문과 for문 문제 (0) | 2020.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