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자료구조]
- Data Structure, 데이터 구조
-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의 예
- 학생에게 학년&반&번호를 부여하는 것
- 우편번호
- 대표적인 자료구조 : 배열, 스택, 큐, 링크드 리스트, 해쉬테이블, 힙
[알고리즘]
- 어떤 문제를 풀기 위한 절차와 방법
- 사람마다 문제를 다르게 푸는데, 이 풀이 방법들 중 좋은 알고리즘의 기준은 시간과 공간!
- 즉, 메모리 공간과 시간 복잡도를 고려하는 것이다.
- 어떤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을 쓰느냐에 따라, 성능이 달라지기 때문에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이 중요한 것.
Q. 코딩테스트를 왜 하나요?
A. 개발자는 어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업으로 하기 때문에, 이를 평가 하기 위해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을 성능이 좋은 코드로 작성할 수 있느냐!를 검증하고자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반응형
'Algorithm & Data Structure >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ncept] 더블 링크드 리스트 (double linked list) (0) | 2021.08.04 |
---|---|
[Concept] 재귀함수와 연결리스트(linked list) (0) | 2021.08.02 |
[Concept] 생성자와 소멸자 (0) | 2021.08.01 |
[Concept] 배열 - 큐와 스택 (0) | 2021.07.31 |
코딩 테스트 개요와 파이썬 문법 기초1 (자료형) (0) | 2020.12.28 |